제로 웨이스트 :분리배출 제대로에,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추가!

 

'나는 앞으로 제로 웨이스트를 향해 걸어 볼 거야'

라고 결심한지 5주 차.

이제 두 달째 시작!

 

먼저, 용어를 변경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어요.

나는 여태 바른 용어도 모르고 사용했었네.

'분리수거' 청소하는 누군가가 하는 노력이 아니라

우리 각자가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리배출'이라는 용어를 쓰는 게 맞는다고요.

 

분리배출 : 쓰레기 따위를 종류별로 나누어서 버림.

분리수거 : 종류별로 나누어서 버린 쓰레기 따위를 거두어 감.

 

분리배출이라는 단어는 2017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에 표제어로

새로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말에도 힘이 있으니

오늘부터는

분! 리! 배! 출!

 


5주 차인 9월의 나의 미션은

플라스틱 사용 반으로 줄이기

입니다.

 

지난 8월 한 달간

저희가 사용한 플라스틱병은

총 25개로

분리배출로 4.5Kwh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거두었는데요.

 

8월 한달간의 분리배출 결과

 

8월 한 달 동안 25개 플라스틱 배출

9월 한 달 동안 반으로 줄여

분리배출하여 절감하는 에너지를 2.3Kwh 미만으로

만들어보려 합니다.

무엇보다 사용 자체를 줄이는 게

더 중요한 일이니까요.

 

저희 집의

플라스틱병 배출은 주로

아들이 좋아하는 음료수 때문인데요,

한 달 동안 이런저런 제 행동을 지켜봐온

아들이 그중 유색 병에 들은 음료를

앞으로 끊기로 약속해 주었어요. (기특 기특~)

아직 이미 사다 놓은 유색 병 음료들이

남아있지만... 모두 사용하고 나면

이제는 소비하지 않을 거예요.


 

그래서 5주 차, 이번 주 제 분리배출은

투명 플라스틱병 1개,

캔류 5개,

약간의 종이류 (박스와 계란 판)입니다.

추가로 두부, 음식.. 이 담겼던 플라스틱 용기는

PP로 제 계산에는 넣지 않겠습니다.

(iWarm이 미국에서 만들어져서

이런 것의 데이터가 없네요)

분리배출 제대로 하고 플라스틱병 줄이기 -5주 차

 

iWARM의 재활용 에너지 계산기를 이용해서 계산한 결과

총 1.8Kwh의 에너지를 절약한 샘입니다.

분리배출 제대로 하기 5주 차 - 절약한 에너지 효과

 

그리고 이는 방에 에어컨을 한 시간 좀 넘게

켜 놓는 에너지와 비슷한 양입니다.

 

갈 길이 멀지만

분리배출을 제대로 하고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고

활용 가능한 물건을 다시 쓰고,

고쳐 쓰고...

차근차근

실천해볼게요!

 

 

 

 

Posted by 초록지구에서 하루 더
,
제로 웨이스트 :
분리수거 제대로 하는 것부터 시작해봐요!

 

8월 22일.

 

'나는 앞으로 제로 웨이스트를 향해서 걸어볼 거야'

라고 결심한지 4주째.

첫 번째 달 미션으로

'분리배출을 제대로 하자'

그래서 환경부, 서울시, 다른 블로그, 유튜브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분리배출을 시작하였습니다.

사실 저는 지금 홍콩에 살고 있는데요,

홍콩의 환경부 사이트에도 들어가

우리나라와 다른 점을 확인해 보기도 했지요.

정보를 모아 모아....

4주 차, 이번 주 제 분리배출은

플라스틱병 2리터 2개, 500미리 7개,

캔 4개, 유리병 2개, 종이류 약간

입니다.

생수는 원래 먹지 않는데

워낙 음료수를 좋아해서 플라스틱병이 여전히 많네요.

분리배출 제대로 하기 - 4주 차 ​

 

iWARM 재활용 에너지 계산기를 이용해서 계산한 결과

총 3.6Kwh의 에너지를 절약한 샘입니다.

분리수거 제대로 하기 4주 차 - 절약한 에너지 효과 ​

 

8월 4주 동안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매주 기록한 분리수거 현황을 모아 보았습니다.

유리병 9개, 와인병 1개,

330ml 캔 22개, 플라스틱 330ml 병 19개,

플라스틱 2l 병 6개, 그리고 종이류 약간

모두 제대로 분리수거되어 자원으로 활용될 경우,

18Kwh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분리수거 제대로 하기 - 8월 한 달간의 에너지 절감 효과

 

18kwh는 에어컨을 12시간 돌리고,

랩톱 컴퓨터를 8시간씩 45일 사용할 수 있는

꽤 많은 에너지입니다.

참고로, iWARM에서 찾은 에너지 효과를 아래 첨부합니다.

iWarm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활용 예

무엇보다 모아놓으니 줄여보겠다고 애쓰는데도

여전히 많이 소비하고 있네요.

리사이클, 업사이클.... 된다지만 사실

버려지는 많은 것들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분리수거부터 제대로 해서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동행해보실래요?!

 

Posted by 초록지구에서 하루 더
,
초록지구,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시작해요

썩거나 재활용되는 줄 착각하고 있는

대표적인 1회용 제품이며 환경 오염의 주범이 종이컵과 생리대이다.

종이컵은 물이 새고 흐물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코팅을 하기 때문에 자연분해되지 않는다.

생리대, 기저귀 등도 방수를 위해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썩지 않는다.

 

다행히 최근 우리나라 제지업계에도 생분해 바람이 불고 있다.

무림제지가 ‘네오포레컵’ 이라는 종이컵을 출시하였고

유한킴벌리가 ‘라네이처 시그니처’라는 자연상태에서

12주 후 생분해 된다고 광고하는 생리대를 내놓았다.

 

이들 제품은 공통적으로 ‘TUV Austria’라는 기관에서

생분해 인증 (Seedling) 을 인증받았다고 해서

그에 관해 알아보았다.

사진 : 무림제지 제공

 

라네이처 시그니처 생리대


먼저,

TUV Austria Bureau of inspection & Certification (Pvt.)LTD

다양한 국제, ISO 표준에 관해

독립적으로

제3자의 등록 또는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 세계적으로 승인된 기관 중 하나이다.


무림제지 네오포레컵의 생분해 인증마크

OK Compost industrial

무림제지 네오포레컵의

TUV Austria의 ‘OK Compost Industrial’

는 “퇴비화”에 초점을 맞춘 인증으로,

배출된 폐기물 중 상당 부분이 퇴비가 되면

폐기물의 양이 상당히 줄 수 있고,

생산된 퇴비는 원예나 농사 등에 이용될 수 있다는 취지이다.

이 로고가 부착된 제품은

산업 퇴비화 공장에서 생분해 성이 보장된다고 하고,

이는 모든 구성요소, 잉크 및 첨가제에도 적용된다.

인증 프로그램의 기준은 EN 13432: 2000을 표준으로 한다.

EN13432:2000의 test 방법은, 아래와 같다.

- 58 ± 2 ° C-고온에서 6개월 후 90% 생분해

- 고온에서 3개월 후 50% 생분해 (40~70도씨)

- 중금속이나 독성이 기준 함량에 미달하는지.

즉, 이 제품이 목적한 바데로 생분해되려면,

이를 생분해 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춰진 폐기업체가 필요한데

우리 나라에는 아직 없다. 

어서 이 부분이 공론화 되어,

기업과 개인의 노력이 헛되지 않고

잘 선순환되기를 바란다.

 


라네이처 시그니처가 받은 OK Biobased 

유한킴벌리의 라네이처 시그니처에

사용된 TUV Austria의 ‘OK biobased’는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했는지에 초점을 둔 인증으로,

화학 기반 원자재의 대안으로

재생 가능한 원료 비율을 측정하여 인증한다.

제품 포장에 보이는 별*표시가

바이오 기반 원료 비율(%)을

나타내어 준다.

라네이처 시그니처의 경우 별이 4개이니

80% 이상의 재생 가능한 원료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아래 2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승인받을 수 있다.

* ASTM D6866 혹은 CEN/TS 16137 으로 측정한

바이오 기반 탄소 함량이 최소 20% 이상

(OK Biobased는 2020년 1월부터,

ASTM D6866을

유럽 표준 방식인 EN 16640으로 대체합니다.)

TÜV AUSTRIA document TS-OK20으로

측정한 총 탄소 함량 (건조 상태의 무게) 30% 이상

 

이 비율은

제품 자체가 얼마나 자연친화적인 원료로 만들었는지를

탄소 함유율로 나타내는 것으로

생분해성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Image Credit:  European Bioplastics

대신 라네이처 시그니처는 생분해를 인증하는 Seedling을 받았고

Seedling에 관해서는 다음 글에 계속~

https://sue-hs-lee.tistory.com/5

 

라네이처 시그니처가 받은 시드링 Seedling 인증

초록 지구, 환경을 생각하는 것에서 시작해요 시드링 (Seedling) 제가 말씀드리는 Seedling은 파타야의 숙소 이름도, 씨 뿌리기도, 아이들 물건 브랜드도 아닙니다. 이번에 알아본 Seedling은 유럽 바이�

sue-hs-lee.tistory.com

이덕주기자, 2020.08.12. 매일경제, 일회용 종이컵·빨대…생분해 제품이 대세
TUV Austria 홈페이지 : https://www.tuv-at.be/green-marks/ 
Beta Analytic홈페이지: https://www.betalabservices.com/biobased/astm-d6866.html
OK biobased Certification Scheme TS OK20 (PDF) EN_13432 requirements : https://www.tuv-at.be/fileadmin/user_upload/docs/ok-compost-march-2020/Doc_09e-a_-_Requirements_of_norm_EN_13432.pdf
Posted by 초록지구에서 하루 더
,
초록 지구, 환경을 생각하는 것에서 시작해요

 

시드링 (Seedling)

제가 말씀드리는 Seedling은

파타야의 숙소 이름도, 씨 뿌리기도,

아이들 물건 브랜드도 아닙니다.

이번에 알아본 Seedling은

유럽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에서 인증을 하는

‘Seedling Certification’입니다.

 

지난번에 TUV 을 다루면서

무림제지에서 인증받은 OK-Compost와

Bio compost industrial 로고

 

유한킴벌리 라네이처 시그니처의 Bio- Based에 관해

살폈었는데요.

Bio based 로고

오늘은 비슷한 개념이라

그때 따로 언급하지 않은 Seedling 인증입니다.

 

Seedling 로고

 

 

패키징에 적용하는 OK Compost industry 인증과 같이

Seedling 인증 또한 생분해를 인증하는 것으로,

같은 테스트 방법을 거칩니다.

 

· 섭씨 58도 (상하 2도 차)에서 6개월 후 90% 이상의 생분해

· 고온 (섭씨 40~70도)에서 3개월 후 50%의 생분해

· 생분해 시 중금속이나 독성이 기준 이하로 검출되는지의 여부

 

이 테스트를 통과하면

인증서를 발급받고

인증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첨부하여

로고를 제품에 넣을 수 있습니다.

 

라네이처 시그니처에서 적어 넣은 것처럼요.

유럽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에 의하면,

유사한 외관으로 인해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도

기존 플라스틱 제품과 쉽게 구별할 수 없습니다.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을 표시하는 독립적이고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라벨을 사용하게 되면

소비자가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를 받고

바이오 플라스틱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바이오 플라스틱 인증 라벨의 목적과 장점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 사용자/ 소비자 모두에게 제품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 인증을 입증할 수 있다.

· 폐기물 수거 및 회수에서 적절한 분류를 가능하게 함.

· 제품 품질 보장

 

바이오 플라스틱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바이오 원료나 재료를 제품에 사용하였는가.

· 제품의 이용 후 처리 시 생분해가 가능한가.

 

EUBP에서 제공하는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라네이처 시그니처는 Bio based이며 (TUV에서 인증받음)

또 Seedling 인증까지 획득한 친환경 제품입니다.

그러나 단 여기서 짚어봐야 할 것이

생분해를 인증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이

자연상태로 생분해되기는 힘든 58도에서

테스트 된다는 점입니다.

즉, 생분해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제품이 수거되어 생분해 시킬 업체로 보내져야

제품을 제대로 퇴비화 시킬 수 있을 텐데요,

라네이처 담당자는

생리대 완제품에 대한 생분해 인증은 제품 혁신은 물론 환경경영 측면에서도 오랜 연구의 대상이었고 숙원 과제였다. 미국이나 유럽 등과 달리 아직 우리나라에 생분해성 제품을 퇴비화할 수 있는 설비나 여건이 갖춰진 것은 아니지만, 제품 차원에서 선행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앞으로도 유기농, 천연소재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지속하여 보다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유한킴벌리 뉴스룸

라고 밝혔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쓰레기를 줄이고

환경훼손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기업들의 선행 작업이

설비나 여건을 갖추기 위한 국가적인 노력으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초록지구에서 하루 더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768846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가게에 갈까?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핀란드 중고 문화라는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다!1990년대의 ‘경제 대공황’을 만나며 자연스레 탄생한 핀란드의 중고 문화. 경제적, 물질적 빈곤을 마주해야 했기 때문이�

book.naver.com

저자 : 박현선

출판사: 헤이북스

출판일 : 2019년 11월 25일

 

제목이 주는 단순한 호기심에서 이 책을 짚어 들었다.

핀란드는 비닐봉지를 일 년에 4장만 쓴다는 기사를 읽었었고,

중고 가게 또한 지구를 사랑하는 삶의 모습이

철저히 녹아있을 것 같다는 막연한 동경과 함께.

정말이지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 가게를 가는지?

그들은 어떡해서 중고물품에 거리감이 없으며

소박하고 정겹게 문화로 자리 잡게 만들었을지? 가

궁금했다.

 

서문,

작가의 언니가 던졌다는 질문,

“너는 나무가 좋다면서 왜 나무를 죽여서 물건을 만드니?”

작가가 이 질문에 답을 찾지 못해 큰 충격으로 남긴 것처럼

나도 이 질문이 충격적이었다.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는 질문이었다.

자연에서 나온 물건들이

마땅히 각자의 수명대로 누리지 못하고 훼손되어

우리에게

온 것이라는 것을 생각해내는 연결고리가

내겐 전혀 없었던 것 같다.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가게에 갈까? 중

우리는 물건이 넘쳐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과 가격 하락을 추구하면서

손쉬운 조달을 위해 자연과 자원을 훼손했다.

우월한 존재라고 언제까지 취해 있을 수만은 없다.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가게에 갈까? 중

 

일을 하면서 내가 느꼈던 답답한 마음도 이와 같았다.

 

상상을 초월하는 중고 가게의 숫자에 놀라고,

중고 가게가 순환 경제의 축으로 선순환을 일으키고 있음에

놀라고, 중고품을 조합해 새 제품을 만드는 젊은 디자이너의

죄책감에 놀라는 동안 책은 어느새 중반부를 지났다.

핀란드 사람들이 중고 가게를 안착시키고

그들의 역사와 문화로 발전시키는 과정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사회적 기업으로서 공공기관 직원과 학생들에게

눈높이에 맞는 환경 교육을 하는 일까지 한다니 또 놀랍다.

그리고 우리나라 교육에 아직도 환경이 빠져있음이 더욱

안타깝고.


작가는 말한다. 

편의를 중시하고 소비를 유흥과 과시로 여기는 풍조가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의 품질에도 영향을 준다고.

소비자의 의식이 바뀌고, 기업은 품질 좋은 물건을 만들어

수명을 늘려야 한다는 것을.

쉬운 소비와 빠른 폐기가 문제라면 공유하는 것은 어떨까?

같이 나눠 쓰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현재의 버전이 일정 기간 내에 오래되거나 쓸모없게 될 것이라는

점을 의도적으로 기획하는 ‘계획된 구식화’ 도 우리가

피해야 할 면인 것 같다고.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가게에 갈까? 중

 

결코 환경으로 시작해서 환경으로 끝나는 책이 아니다.

핀란드 곳곳의 다양한 중고 가게들을 경험하고

운영진, 소비자와 인터뷰한 소소한 얘기들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들의 문화와 생활 태도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핀란드 사람들도 꼭 환경이라는 철학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을 갖았기 때문에 중고 가게를 찾는 것은

아니라는 민망한 안심도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고심하고 반성하며 발전시켜가는 그들의

자연스러운 중고 가게 방문은… 물건을 소모하지 않고

그 생명이 다할 때까지 아낄 줄 아는 마음이 그 끝에 닿아

지구 환경을 보전하고 되돌리려는 운동과 연결될 수밖에 없다.

 

16세, 이제 17세인 환경활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기후행동 정상회의에서

세계 지도자들을 행해,

기업인과 정치가들이 경제만 좇는 바람에 학생들을

거리에 나서게 했다며 분노를 표했다는

“How dare you (어찌 감히)!라는 말이

이제야 공감된다.

 그리고 나 또한 죄책감을 느낀다.

 

작가의 마지막 말에 밑줄 쫙~!!!

 

흰 캠퍼스 천으로 만든 가방이 에코백이 아니고,
이미 우리가 가진 가방을 오래도록 쓰는 것이야
말로 에코백임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Posted by 초록지구에서 하루 더
,